[4]OpenSSL 취약점을 이용한 Heartbleed 모의해킹
- 2022.08.19 -
해당 블로그의 내용에는 실제로 해킹을 하는 과정이 언급되어 있습니다.
모의 해킹의 환경은 100% 사용자가 통제가 가능한 상황에서 실습을 진행하였으며
불법적인 해킹이 아닌 모의 해킹으로써 해킹의 목적이 오롯이 교육의 성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
본 과정을 악용하여 사용하는 2차 피해에 대해서는 행위자가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으며
일어나는 모든 피해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.
구축 환경
가상 시스템 - 역할 - 운영기반
KALI - Attacker - Debian GNU
beebox - Victim - Linux
IP 목록
Host - IP Address
KALI - 192.168.206.128
beebox - 175.198.224.248
시나리오 내용
OpenSSL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heartbleed 공격을 통해 로그인정보를 확인하였다.
실습 환경
공격자
- OS : Linux
- IP : 192.168.206.128
희생자
- OS : Linux
- IP : 175.198.224.248
HeartBleed란?
인터넷에서 각종 정보를 암호화하는 데 쓰이는 오픈소스 암호화 라이브러리인 오픈SSL(OpenSSL)에서 발견된 심각한 보안 결함을 일컫는 말이다. 국내외 유명 웹 서비스는 주로 오픈SSL로 암호화 통신을 한다.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로그인 정보나 각종 개인정보, 금융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때 오픈SSL을 이용해 암호화한다. 핀란드 인터넷 보안회사는 하트블리드 버그를 이용하면 특정 버전의 오픈SSL을 사용하는 웹 서버에 침입할 수 있으며 개인 정보도 빼낼 수 있다고 경고했다. 그 때문에 지금까지 발견된 버그 중 가장 치명적인 버그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.
[네이버 지식백과] 하트블리드 [Heartbleed] (ICT 시사상식 2015, 2014.12.31)
비박스로 로그인을 시도해본다. 잠시 후 있을 하트블리드를 확인하기 위해서 임의 값을 입력한다.
하트블리드 공격을 위해서 칼리리눅스에서 msfconsole을 실행한다.
sudo msfconsole
하트블리드관련 취약 모듈을 찾고 목적지IP와 포트를 설정하고 공격한다.
search heartbleed
use 1
set RHOST 175.198.224.248
set RPORT 8443
exploit
공격 후 아래의 네모박스를 보면은 13135 바이트의 데이터가 하트블리드가 되어 leak(유출) 된것을 확인했다.
그러나 우리가 확인할 목적은 눈으로 볼 수 있는 결과값인데 exploit만 입력하니 릭된 데이터 크기만 안내해준다.
설정을 몇개 바꿔봤다.
설정을 true로 바꾸어exploit한 상세한 내역을 볼 수 있게 바꾸었다.
set verbose true
그리고 다시 공격을 해보았다.
기존과는 다른 모습들이 보여지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가장 밑에 내려보자.
조금전에 로그인시도한 로그인정보와 비밀번호 정보가 하트블리드를 통해서 유출되어진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.
마 치 며
이론으로만 배웠던 하트블리드를 실습을 통해 실제로 할 수 있게 되니 새로웠다.
다른 강의때보다도 취약점분석이 더 흥미가 끌리는 것 같다.
'Red Team > Penetration Testing & CTF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6] Earth리눅스 취약점 분석 및 모의해킹(w. vulnhub) (0) | 2022.08.27 |
---|---|
[5] docker에 대한 무작위대입공격 모의해킹 (2) | 2022.08.22 |
[3] Nessus를 활용한 Metasploitable2에 대한 samba취약점 해킹 (0) | 2022.08.19 |
[2] hfs 취약점을 이용한 모의해킹 (0) | 2022.08.04 |
[1] OS Command Injection을 이용한 모의 해킹 (0) | 2022.08.04 |
댓글
이 글 공유하기
다른 글
-
[6] Earth리눅스 취약점 분석 및 모의해킹(w. vulnhub)
[6] Earth리눅스 취약점 분석 및 모의해킹(w. vulnhub)
2022.08.27 -
[5] docker에 대한 무작위대입공격 모의해킹
[5] docker에 대한 무작위대입공격 모의해킹
2022.08.22 -
[3] Nessus를 활용한 Metasploitable2에 대한 samba취약점 해킹
[3] Nessus를 활용한 Metasploitable2에 대한 samba취약점 해킹
2022.08.19 -
[2] hfs 취약점을 이용한 모의해킹
[2] hfs 취약점을 이용한 모의해킹
2022.08.04